검도를 배운지 4달이 지났다.

호구를 쓰고 수련을 하기 시작했다. 한달 반 정도 지났다.

이제야 호구를 빨리 쓸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호면 쓰는 게 어색하다. 

 

한 가지 운동을 꾸준히 하는 사람들은 그 자체로도 대단하다.

하지만 오래 수련하는 것보다 중요한 건 제대로 수련하는 것인 듯 하다.

 

관장님과 사범님, 선배들과 이야기하면서 계속 나오는 소재이지만, 몇 년을 배워도 나아지기 어려운 건 처음에 잘못 들인 습관을 고치기가 어렵기 때문이라고 한다. 처음에 잘못 배워두었고 그 방식이 몸에 익는 시간 동안 아무도 그 잘못됨을 바로잡아주지 못했기 때문에 습관이 몸에 베이게 되고,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는 그 습관을 고치려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어 버렸다고들 말씀하신다. 검도는 상대적으로 기검체 일치라고 하는, 순간의 바른 자세의 합을 갈고 닦아 나가는 것이 중요한 수련인데, 바른 자세라고 하는 기준이 엄격하다보니 올바르게 배우지 못한 경우의 어긋난 각도를 되돌리기가 그만큼 어려운 것 같다. 

 

하지만 또 중요한 것은 꾸준함이다. 지난 2-3월, 우리 도장에는 성인 관원이 5명이 새로 들어왔다. 그 중 생존자(?)는 나 혼자뿐이다. 모두 생업이 바빠서, 힘들어서, 또는 기타 다른 이유로 도장에서 보기가 힘들어졌다. 

나는 뭐랄까, 이 운동을 더 잘 해 나가고 싶은 마음이 있다. 검도는 지금의 나에게는 숨 쉴 구멍이 되어 주는 측면이 있기도 하고, 관원들과의 소통도 잘 해나가고 있다보니 격려와 자극을 받기도 한다. 사범님은 거의 하루도 빠지지 않고 정해진 날에 도장에 나오시고, 선배도 거의 매일 도장에 나온다. 나는 일주일에 2번은 꼭 가려고 하고, 대부분은 3번을 갔고, 요즘에는 하루에 2타임씩을 운동하고 있다. 그랬더니 정말 운동신경이 바닥에 가까운 나의 모습이 조금씩은 발전해가고 있는 게 보인다. 

 

하지만 검도는 어려운 운동인듯 하다. 몇년 씩을 수련한 선배들도 머리치기라고 하는 궁극의 동작에서 각도나 타이밍, 타격의 강도, 운지법, 발구름, 거리 맞추기 등에서 계속해서 개선할 점이 나온다. 어쩌면 단 하나의 동작일지도 모르는 머리치기라는 타격을 완성해가기 위해 몇 번이고 시도하고 피드백을 얻는다. 마치 국궁이 단 하나의 점인 10점의 중앙을 맞추기 위해 수년간의 수련을 필요로 하듯, 한 번의 타격이 기검체 일치로서 합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수백번 수천번을 연습하는 것이다. 그만큼 끈질기기도 하고, 끈기도 있어야 하고, 집중도 해야하고, 미묘한 차이를 감지하기 위해 날카로워야 하고.. 그만큼의 수련 기간을 견뎌내는 것 자체가 이 운동이 정신 수련이라고 하는 이유 중 하나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지난 시간에는 관장님께서 공세에 대해서 말씀해 주셨다. 서로 중단 자세로 대치했을 때 한 발짝 들어가면서 상대의 목-중심-을 빼앗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대방은 중심을 빼앗기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중심을 빼앗으면서-빼앗고 나서가 아니라 빼앗으면서 동시에- 머리치기를 한다. 라고 말씀하시면서, 관장님은 '너무 어려워서 이해가 안 되지?' 라시며 껄껄 웃으셨다. 초보 중의 초보인 나로서는, 이해가 될락 말락한 이야기였다. literally 이해는 되지만 mentally, physically, fundamentally는 이해할 수 없는 말이었다.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아하는 거 생각해 보기  (0) 2021.12.10
논문계획 발표를 했다.  (0) 2021.12.02
내가 바라는 사랑, 사랑에 대한 기대  (0) 2021.05.04
사람을 통해 배우기  (0) 2021.05.03
검도수련기록3  (0) 2021.03.12

+ Recent posts